www.foodwork.co.kr  
 

(주)외식과 사람들의
Kitchen / F&B

|||||||||||||||
 

카나페 트레이 (Canape Tray)
간단한 안주류를 담아 서어브할 때 사용하는 쟁반.

카르트 (Carte)
요금표(메뉴)

카르트 뒤 주르 (Cart Du Jour)
그날의 식단.

카붸 (Kahve)
커피(Coffee)라는 말의 어원인 Kaffa 가 터키로 건너와 카붸(Kahve)로 변하였다고 한다.

카아빙 (Carving)
주방에서 조리된 요리를 고객의 테이블 앞으로 운반하여 서비스 카트에 준비해둔 Rechaud 위에 요리가 식지 않도록 올려 놓고, 고객이 주문한 요리를 쉽게 드실 수 있도록 생선의 뼈, 껍질 등을 제거하거나 덩어리 또는 통째로 익힌 고기를 같은 크기로 잘라 서브하는 것.

카운터 서비스 (Counter Service)
식당을 오픈 키친으로 하고 앞의 카운터를 식탁으로 하여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싼 가격에 팁을 주지 않아도 되며 조리장이 객석에서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주문한 요리가 조리되는 것을 볼 수 있어 고객이 지루함을 느끼지 않는다.

카트로리 (Cutlery)
식당에서 손님에게 사용하는 Spoon류, Fork류, Knife 류 등을 총칭하는 말이다.

카페 (Cafe)
커피(불어)

카페 나폴리아노 (Cafe Napoliano)
이태리어, 모닝커피(Morning Coffee)이며 미국의 젊은층 사이에서도 크게 유행이다. 아주 뜨겁게 해야 제맛을 느낄 수 있다.

카페 느와르 (Cafe Noir)
크림이나 우유가 가미되지 않은 블랙커피.

카페 로얄 (Cafe Royal)
푸른 불빛을 연출해 내는 커피의 황제 카페 로얄은 프랑스의 황제 나폴레옹이 좋아했다는 환상적인 분위기의 커피이다.

카페 알렉산더 (Cafe Alexander)
아이스커피와 브랜디, 카카오의 향이 한데 어우러진 가장 전통적인 분위기의 커피로서, 주로 남성들이 즐기는 메뉴이다.

카페 에스프레소 (Cafe Espresso)
본격적인 이탈리안 커피로 "크림카페"라고도 한다. 이탈리아에서는 식후에 즐겨 마시는데, 피자 따위의 지방이 많은 요리를 먹은 후에 적합한 커피이다.

카페 카푸치노 (Cafe Capuccino)
이탈리아 타입의 짙은 커피로 아침 한때 우유와 커피에 계피향을 더하여 마시게 되면 더욱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카푸치노라는 말은 회교 종파의 하나인 카푸치노 교도들이 머리에 두르는 터번으로 모양이 같아서 이름지어졌다.

카페 칼루아 (Cafe Kahlua)
칼루아란 멕시코산의 데킬라 술이 일종으로, 데킬라 술의 향기와 커피의 맛이 어우러진 독특한 메뉴이다.

카페오레 (Cafe Au Lait)
프랑스식 모닝커피로, 카페오레는 커피와 우유라는 의미이다. 영국에서는 밀크 커피, 독일에서는 밀히 카페, 그리고 이탈리아에서는 카페랏떼로 불린다. 여름에는 차게, 겨울에는 뜨겁게 해서 마실 수도 있다.

카페테리아 (Cafeteriat)
셀프 서비스(Self Service) 식당이 대표적인 것으로 고객 스스로 진열되어 있는 음식을 선택하여 그 음식값만 지불하고 날라다 먹는 형식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나 산업기관에 이런 식당이 매우 편리하며 경제적이다.

칵테일 (Cocktail)
여러 가지 양주와 부재료(향료, 과즙, 우유, 계란, 쥬스, 탄산음료, 다른 알콜음료 등등)를 적당분량 혼합해서 색, 맛, 향을 조화있게 만들어 마시는 1860년 경 미국에서 고안된 혼성음료를 말한다. 그 종류로는 Short Drink와 Long Drink가 있다.

칵테일 라운지 (Cocktail Lounge)
라운지(Lounge)옆에 바(Bar)를 설비하여 양주에서 소프트드링크까지 이른바 음료를 마시면서 담화하는 넓고 큰 방을 칵테일 라운지라고 부른다. 대체로 로비(Lobby)옆에 있고, 술을 즐기는 바와 로비를 합쳐서 조합한 것을 말한다.

캐리 오버 (Carry Over)
뜸 들이기.

커드 나이프 (Curd Knife)
커드의 절단에 사용되는 칼로 수평철선칼과 수직철선칼 등이 있다.

커드 컷팅 (Curd Cutting)
Whey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치이즈의 종류에 따라 절단용 칼로 Curd의 표면적을 크게 또는 작게 자르는 것을 말한다.

커드 포메이션 (Curd Formation)
살균처리된 원료유를 Curd 형성을 위해 Cheese Bat에 넣는 것을 말한다.

커버 (Cover)
1회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최대고객의 수.

커버 (Cover)
덮개, 씌우개 또는 식탁위의 1인분의 식기나 1인이 차지하는 식탁 위의 범위.

커버 챠지 (Cover Charge)
식당 따위의 자리값 또는 식음료대와는 별도로 테이블 서비스(Table Service)에 대한 봉사료.

커틀렛 (Cutlet)
얇게 저민 고기점을 말하는데, 특히 양고기, 송아지 고기를 의미한다.

커페 베랑팡 (Coffee Baeranfang)
보드카와 카카오를 넣고 커피를 부은 후 꿀과 휘핑크림을 얹어 제공하는 커피.

커피 나폴리아노 (Coffee Napoliano)
이태리의 모닝 커피이며, 아주 뜨겁게 해야 제맛을 느낄 수 있고, 레몬 한 조각을 띄워서 제공한다.

커피 숍 (Coffee Shop)
커피 및 경식을 파는 매점.

커피 콩퀘스트 (Coffee Conquest)
커피에 럼, Grand Manie, 오렌지 껍질, 설탕 등을 넣어서 제공하는 커피를 말한다.

커피 플로트 (Coffee Float)
크림커피로 일명 카페 그랏세, 카페 제라트로도 불리며, 아이스크림이 들어 있는 커피이다.

컨벡션 오븐 (Convection Oven)
전기를 이용 뜨거운 열을 발생시켜, 이 열기를 이용 로스팅(Roasting)하는 대류식 전기 오븐, 단시간내 내용물을 익힐 수 있지만, 수분 증발로 인하여 딱딱해지는 예가 있다. 대량조리시 편리하다.

컨비니언스 푸드 (Convenience Food)
깡통식품이나 냉동식품 같이 손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도록 최후 조리할 부분만을 남겨놓고 대부분 손질되어 있는 것이나 일부분만 손질되어 있는 식재료를 뜻한다.

컬러링 (Colouring)
식품위생법상 허가된 착색제로 식품에 색을 넣는 것.

컴파운드 샐러드 (Compound Salad)
혼성 샐러드란 각종 재료에 향료, 소금, 후추 등이 혼합되어 양념, 조미료 등을 더 이상 첨가하지 않고 그대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샐러드이다. 일반적으로 Oil & Vinegar를 많이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각종 드레싱과 마요네즈도 사용한다.

컴펫츠 (Curmpets)
버터로 굽는 일종의 케익 또는 머핀을 말한다.

컷 아웃 (Cut Out)
칼이나 틀로 찍어 내고 난 나머지.

컷 인 (Cut In)
한 품목을 다른 품목에 부분적으로 섞어 넣은 것.

케밥 (Kebob)
고치에서 구운 작은 육각형의 고기조각.

케익 틴스 (Cake Tins)
여러 가지 크고 작은 케익틀을 가르키는 말.

케익 후프 (Cake Hoop)
구멍이 나 있는 케익 틀.

콘소메 수프 (Consomme Soup)
수프를 크게 나누면 진한 수프와 맑은 수프로 분류할 수 있는데 콘소메는 맑은 수프에 속한다. 포타지(Potage) 수프는 수프의 총칭으로도 사용되나 대개 진한 수프를 뜻하는 말로 쓰인다.

콜케이지 챠지 (Corkage Charge)
호텔 식당에 있어서 그 식당의 술을 구매치 않고 고객이 가지고 온 술을 마실 때 마개 뽑는 봉사료를 말한다.

콩노아쇠르 (Connoisseur)
맛을 보고 완벽한 판단을 내리 수 있는 전문가.

크리머 (Creamer)
커피를 서어브할 때 커피 크림을 담는 용기.

크리밍 (Creaming)
음식을 부드럽게 크림화하는 조리방법을 말한다.

키친 부케 (Kitchen Bouquet)
고기국물의 맛과 색을 돋구는데 사용되는 병양념의 상표명.

키친 테스트 (Kitchen Test)
주방에서 요리에 사용되는 식료재료의 표준산출고 시험(Standard Yield Test)을 말한다.